목차
오늘은 증여세 계산을 쉽게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재산을 배우자, 자녀에게 증여를 하고 싶어 하는데요.
증여를 하기 가장 중요한 게 증여세 계산입니다. 증여를 생각하고 있다면 미리 증여세 면제 한도액을 알아보고 증여세 계산을 해야 불필요한 세금을 아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증여세 계산 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증여세 계산기를 사용해서 자동계산하는 방법까지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추가적으로 증여세 절세 방법도 알려드릴 테니 집중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증여세 계산
증여세 계산 방법으로는 과세표준 세율을 곱하고 누진공제액을 제외해 주면 증여세 계산이 됩니다. 증여세율의 경우 5단계로 나뉘며 누진공제액은 재산가액에 따라 다릅니다.
증여세율은 재산가액이 크면 클수록 증여세율이 높아지며 1억 원 이하부터 30억 원 초과 5단계로 증여세율이 나뉩니다.
증여세 계산할 때 중요한 게 누구한테 증여를 하느냐입니다. 증여대상에 따라 증여세 면제 한도액이 다르기 때문에 증여세 계산기를 이용해서 증여세를 자동계산 하는 게 편리합니다.
증여세 계산기
증여세 계산기 자동계산 방법으로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위의 바로가기를 클릭하면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로 이동하며 증여세 자동계산기로 이동합니다.
증여세 자동계산을 통해서 토지, 공동주택, 일반건물 등 부동산, 주식, 기타 재산 등의 증여세를 직접 계산할 수 있습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가족 또는 친족 간 증여 시 일정액을 과세가액에서 공제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10년 동안 배우자는 6억 원, 자녀에게 증여 시 5천만 원 (단, 미성년자는 2천만 원)이 증여세 면제 한도액입니다.
기타 친족의 경우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1천만 원입니다. 즉, 10년 이내에 위의 해당 증여세 면제 한도액만큼 증여를 하게 되면 증여세가 면제됩니다.
올해 새롭게 혼인공제가 추가로 신설되었습니다. 결혼하는 자녀에게 증여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혼인공제가 신설되어 1 억 원을 추가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증여세 절세 방법
증여세 절세 방법으로는 최대한 증여세 면제 한도액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증여 기간을 10년으로 합산하기 때문에 10년 기한을 잘 활용하여 증여세 공제 한도 내에서 증여를 하면 절세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자녀는 5세부터 증여가 가능하기 때문에 5세 2천만 원, 15세 때 2천만 원, 그리고 성인이 되면 5천만 원, 30세 때 5천만 원 이런 식으로 꾸준히 증여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증여하는 아파트를 증여하는 경우에는 부담부증여를 활용하는 것이 좋으며 상가나 단독주택 같은 경우 현금보다 증여 시 유리합니다.
또한 자녀가 창업을 하는 경우 창업할 때 창업자금을 지원해 주면 증여세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단, 세법이 정하는 중소기업 창업을 해야 합니다.
증여세 신고 및 납부
증여세 납부는 증여한 사람이 아닌 증여를 받은 사람이 납부해야 합니다. 증여세 납부기한은 증여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증여받은 사람의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 신고 및 납부해야 합니다.
증여를 받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 신고 시 납부세액의 3%를 공제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고기간 내에 신고 및 납부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 증여세율 총정리
오늘은 증여세에 관련된 중요한 변화, 특히 2023년 세법개정안에서 변경된 증여세 면제 한도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증여세란 증여세는 증여자로부터 재산을 무상으로 받은 경우에 부
mymemomo.com